문학산책

上虛下實

송 관 2015. 9. 10. 03:18
대표적인 병법서에는 클라우제비츠가 지은 <전쟁론>과 손무가 지은 <손자병법>이 있습니다.

 

클라우제비츠는 적의 중심을 적의 군대로 보고 결정적 시점에 최대한의 군사력을

 

동원해서 최대한 타격을 가하는 것을 주장합니다. 대장내시경 검사나 용종이나 암이 발견되면 그 중심을 잘라내서 치료하는 현대의학의 개념과 궤를 같이합니다. 염증을 유발하는 세균이 있으면 항생제를 사용하여 세균을 박멸하고, 암세포가 있으면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통하여암세포를 죽입니다. 즉, 몸을 파(破)하여 원인을 제거하는 것으로 파승(破勝)입니다.

 

<손자병법>은 원치 않는 싸움을 피하며 원하는 것을 얻으라고 말합니다.

 

한 지인의 모친은 건강관리를 잘 하여 97세의 연세로 타계했습니다. 살아 생전 바른 건강관리와긍정적인 사고방식으로 아예 암이라는 질병이 몸에 쳐들어오지 못학 했습니다.

 

몸을 온전히 유지한 상태에서 이기는 것을 전승(全勝)이라고 합니다.

 

<손자병법>은 동양의학의 핵심인 양생(養生)과 궤를 같이합니다.

 

# 양생철학의 중심에는 '상허하실'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상허하실은 상체는 실하고 하체는 실해진다는 개념인데 , 열순환의 관점에서 보면' 머리는

 

차갑게 발은 따뜻하게'라는 두족한열(頭足寒熱)과도 일맥상통합니다.

 

머리가 무겁고 마음이 무거울 때 많이 걸으면 머리도 가벼워지고 마음이 가벼워지는 것을

 

경험한 적이 있으실 겝니다. 머리가 무거운 상실하허의 상태가 걷는 것을 통하여 상허하실(上虛下實)이 된 것입니다. 동양의학에서는 고혈압/당뇨병,두통 등 상체의 모든 병을 상실하허로 인한 증상으로 봅니다.

 

요즘 뉴스를 보면 화가 나서 예상치 않은 저지른 행동의 기사가 주류를 이룹니다.

 

살인,폭행,짜증으로 이한 사건……………..모두 화가 머리 끝까지 뻗쳐 자기도 모르게 흥분하여 우발적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즉, 상실(上實)로 인하여 자제력을 읽고 ,이성의 상실(喪失)로이어진 것입니다.

 

동양의학에서는 상허하실을 위한 방법으로 단전호흡과 명상을 중요시 합니다.

 

단전호흡이나 명상을 하면 마음이 가라 앉고 이로 인하여 하실(下實)이 되고 하실이 되면

 

자연적으로 상허가 되는 것입니다. 마음이 가라 앉지 않으면 많은 부작용이 생깁니다.

 

먼저 마음이 흩어지면 산만(散漫) 해집니다. 마음이 산만해지니 귀가 얇아지고 남에게 잘 속습니다.그런데 마음이 들뜨게 되면 만(慢) 코스로 가게됩니다. 먼저 자만하게 되고, 자만은 교만을 낳고,교만은 오만을 낳으니, 높은 위치나 돈을 많이 번 사람들이 여차하면 빠지기 쉬운 코스입니다.만(慢) 코스의 사람들은 상대방에게서 거만하게 비쳐져 불만을 품으니 인화가 안되고

 

불평으로 꽉 차니(滿) 사는 게 사는 게 아니죠.

 

여러분께서는 상허하실을 어떻게 취하시는지요?

 

여기에 간단한 상허하실의 방법이 있습니다. 단전에 힘을 주고 소리내지 않고 웃는 것입니다.
웃으면 자연적으로 상허하실이되어 몸에 좋고 마음에 좋은 것입니다.

 

# 저는 지하철로 출퇴근한는데,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개를 수그리며 스마트 폰을 들여다 보는 것을봅니다. 카톡,뉴스, 게임 혹은 동영상을 보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사실을 알고 계시는지요?스마트 폰을 사용하면 할 수록 상실하어의 상태가 된다는 것을…………………

 

목 디스크, 경추통, 손저림, 두통, 눈 피로및 집중력 저하등 스마트 폰의 부작용이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과도한 스마트 폰 사용으로 인한 상실(上實)이 건강의 상실(喪失)로 이어지면 의사들로서는 좋지만,크고 길게 보아서는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오늘부터라도 바보상자 TV시청을 조금 더 줄이고 대신, 단전에 힘을 주고 소리내지 않고 웃으면

 

상허하실이 되어 몸은 건강해지고 마음은 편안해지는 마법의 시간을 가지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