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좋은생각

원인 분명한 '혈관성 치매'… 알고도 걸리실 건가요?

송 관 2019. 9. 22. 17:20

 

제목: 원인 분명한 '혈관성 치매'… 알고도 걸리실 건가요?


 

혈관성치매는 알츠하이머치매와 달리 뚜렷한 예방법이 있다.

치매는 고령자에게 암보다 무서운 존재로 여겨진다. 치료 약이 없을 뿐 아니라, 지인들에게 큰 피해를 끼치는 병이기 때문이다. 치매의 종류는 다양한데, 그중 독성 단백질이 뇌에 쌓여 발생하는 '알츠하이머치매'와 뇌혈관이 손상돼 발생하는 '혈관성치매'가 대표적이다.

   혈관성치매도 종류가 다양하다. 단 한 번의 뇌졸중으로 갑자기 인지기능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키는 '전략뇌경색치매', 여러 번의 뇌졸중으로 단계적인 인지기능 장애가 발생하는 '다발경색치매', 뇌졸중은 아니지만 작은 뇌혈관의 문제로 뇌 피질 밑쪽이 손상돼 발생하는 '피질하혈관치매', 염색체 돌연변이가 원인인 '유전형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병과 함께 발생하는 '혼합성 혈관성 치매' 등이다.

  혈관성치매의 예방 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뇌졸중 환자의 경우 급성기 뇌졸중의 적절한 치료를 통해 신경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 두 번째는 항혈소판 제재로 뇌졸중의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뇌졸중 발생 위험인자를 철저히 조절해 신경세포 손상의 진행을 막거나 최소화하는 것이다.​ 뇌졸중 발생 위험인자에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호모시스테인혈증, 관상동맥질환, 심방세동, 흡연, 음주, 비만, 수면무호흡증 등이 있다.

  인지기능이 정상인 60세 이상의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칼슘 통로 차단 효과가 있는 고혈압 약을 2년간 투여했더니 약 50%의 치매 예방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뇌졸중 위험이 약 2.6배로 높다. 금연 시작 3년 후에는 뇌졸중 및 혈관성 치매 발생 위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금연은 필수다.

  음주는 하루 1~2잔 가볍게 하는 것이 심뇌혈관질환의 발생을 줄인다는 보고가 있지만, 과도한 음주는 분명히 삼가야 한다. 신체 비만 지수가 1kg/㎡ 증가하면 뇌졸중 위험도가 약 11%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체중 관리도 중요하다. 한 연구에 의하면 운동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발생률 및 뇌졸중 사망률이 27% 감소한다. 다만, 운동은 적절한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매일 약 30분간 뛰거나 걷는 등의 유산소 운동이 적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