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100세, 뼈에 달렸다
내 몸의 기둥 뼈·관절
100세 시대, 후반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뼈 건강을 잘 지켜야 한다.
뼈가 건강한 사람일수록 삶의 질이 높다는 것은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미국 메이요클리닉에서 여성 5만7141명의 자료를 분석했더니,
골절을 한 번도 겪지 않은 사람이 골절을 한 번이라도 겪은 사람보다
분노·우울감이 덜하고, 자기 자신을 잘 돌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골다공증이 없는 사람이 골다공증이 있는 사람보다
폐경 이후 혈관 질환이나 대인 관계 문제를 덜 겪는다는
스페인의 연구 결과도 있다.
이렇듯 뼈 건강이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무엇일까?
▲ 뼈는 몸의 형태를 유지하고, 주요 장기를 보호하며,
몸속 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등 여러 기능을 한다.
뼈가 건강해야 삶의 질이 높아지는 이유다.
뼈를 큰 역할이 없는 신체의 일부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뼈는 신체 건강을 지키는 핵심 기능을 한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민용기 교수는 "뼈는 집의 기둥처럼
몸의 형태를 유지하고, 심장·폐 등 주요 장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칼슘·인 등을 저장해뒀다가 몸속의 이온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렇듯 신체 전반에 걸쳐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한 곳이라도 망가지면 안 되는 것이다.
뼈가 아무리 건강해도 관절에 탈이 나면 아무 소용이 없다.
관절은 뼈와 뼈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뼈의 끝부분·연골·윤활액
등을 통칭한다.
어느 부위든 관절이 건강해야 뼈가 무리 없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뼈와 관절은 나이가 들수록 약해진다. 뼈에는 칼슘·인 등의 무기질
성분이 있는데, 30대 후반부터 뼈 속의 무기질 양이 점점 줄어들어
뼈가 무르게 변한다.
관절은 닳아 없어져서 제 기능을 못하게 된다. 이렇게 뼈와 관절이
약해지면 여러 문제가 생긴다.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송상준 교수는
"작은 부위인 손가락·발가락의 뼈·관절에만 문제가 생겨도
식사·걷기 등 아주 기본적인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다"며
"뼈·관절의 문제는 심하면 사망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노인이 뼈가 약해져서 고관절·척추 골절이 생기면 1~2년 안에
사망하는 비율이 30% 정도로 높다. 골절 때문에 잘 못 움직이면
폐렴 등이 생겨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것이다. 따라서 나이가
들어도 뼈와 관절이 제 기능을 잘 할 수 있도록 뼈·관절 건강법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1.음식으로 칼슘 보충
2.햇볕 쬐며 30분 이상 걷기.
3.비타민 D섭취
4.두부. 견과류 섭취
'신문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D' 조금만 부족해도, 치매 위험 급상승 (0) | 2015.10.04 |
---|---|
감기로 착각하기 쉬운 질환 5가지 (0) | 2015.10.02 |
天壽의 秘訣은 努力입니다 (0) | 2015.09.26 |
암이 싫어하는 음식 30가지 (0) | 2015.09.26 |
과일을 알고 먹어라 (0) | 2015.09.24 |